호감공간

안녕하세요. 둥둥입니다. 🙇‍♂️
블로그 글을 쓰지 않은지도 벌써 3개월이 넘어가는거 같네요.

그간에 여러가지 일들이 있어서,
글 쓰는 것을 소홀이 하게 되었습니다. 😥

다시금 열심히 글을 작성하며 하루하루 배운것을 남기려고 합니다.
저는 작년까지 과일 장사를 하였습니다.

온라인으로 과일🍎을 팔아서 실제 장사하시는 분들만큼 바쁘지는 않았지만, 이것저것 연구하다보니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거 같습니다.

올해는 과일 장사를 접고 제가 진짜 좋아하는 것과 하고 싶은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저는 평소 잘 먹는편이고 맛있는😋 음식을 좋아합니다.

너무 자극적인 음식은 안 좋아하고 덜 자극적이면서 먹으면 건강💪에도 좋은 음식들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맛있고 건강한 음식을 팔아보면 어떨까 고민하게되었습니다.

 

하지만 맛있고 건강한 나만의 음식을 개발하기란 쉽지 않더군요. 😥

그래서 처음부터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하지 않고 '건강한'이란 키워드부터 챙겨보자고 했습니다.

그렇게 몇개월을 노력한 끝에 최근에 출시한 상품은 '뼈건강 기장칼슘'이라는 제품입니다.

아래는 제품 스토어 링크이니 필요하신분은 이용해주시면 감사합니다. 🙇‍♂️

 

뼈건강 기장칼슘 칼슘쌀 기장 좁쌀 어린이칼슘제 칼슘기장 : 정직한청년식품

뼈건강 기장칼슘 한 스푼으로 하루에 부족한 칼슘을 충족하세요!

smartstore.naver.com

이 제품은 대전에서 쌀가공 공장을 하시는 사장님과 협업을 통해 개발된 제품입니다.

아직 세간에 알려져 있지 않고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사람은 현재 전세계에서 저밖에 없습니다.

저는 해당 제품을 출시하기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부족한 영양소가 무엇인지 조사했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한국인에게 가장 부족한 영양소가 칼슘이라는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요즘 우리에게 부족한 영양소 함유 식품 4 - 코메디닷컴

미국의 식사지침에 따르면, 칼슘, 칼륨, 식이섬유, 비타민D는 대부분의 미국인에게서 부족한 4가지 필수 영양소다. 이 영양소들은 치아부터 위장, 근육, 심장에 이르기까지 우리 몸 전반에 영향

kormedi.com

아래는 국민영양통계에 나온 2019년 한국인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 이며, 칼슘 섭취에 대한 통계도 나와 있습니다.

 

영양소별 섭취량<영양소섭취량<국민영양통계-KHIDI 대표사이트

영양소별 섭취량 home 국민영양통계 영양소섭취량 영양소별 섭취량 글자크기 본문 사이즈 크게 본문 사이즈 작게 프린트 영양소 \지역 전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평균 표준오차 평균 표

www.khidi.or.kr

그리고 아래 자료는 보건복지부에서 작성한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자료입니다.

2020_한국인_영양소_섭취기준-무기질.pdf
11.67MB

결론적으로 한국인은 일일 200~300mg 정도의 칼슘이 부족합니다.

청소년은 자라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칼슘을 필요로함으로 많은 칼슘 섭취가 필요함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부족한 칼슘을 요새는 많이들 보충제를 통해 섭취하시는데요.

실제 칼슘은 보충제로 먹는것 보다 음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결과가 미국의 '임상영양학저널'에 2007년 게재된 바가 있습니다.

 

Effects of dietary calcium compared with calcium supplements on estrogen metabolism and bone mineral density - PubMed

Calcium from dietary sources is associated with a shift in estrogen metabolism toward the active 16 alpha-hydroxyl metabolic pathway and with greater BMD and thus may produce more favorable effects in bone health in postmenopausal women than will calcium f

pubmed.ncbi.nlm.nih.gov

아래는 해당 논문의 핵심이 되는 도표인데, 보시는것과 같이 음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섭취된 칼슘이 실험자의 골밀도(BMD)에 있어 더 많은 영향을 주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뼈까지 흡수가 잘 되었다는 것이죠.

FIGURE 1. Mean (&plusmn;SE) bone mineral density (BMD) normalized for age at different skeletal sites by primary calcium source in postmenopausal women. Group comparisons were made by ANCOVA and were adjusted for BMI, years since menopause, and average total daily calcium intake; P < 0.05 for all variables except trochanter (P = 0.07). Means with different lowercase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post hoc analysis by multiple-range testing with Bonferonni&rsquo;s method).

그래서 전 음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칼슘을 섭취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고, 밥에 칼슘을 넣는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기장(좁쌀)에 칼슘을 뭉친 뼈건강 기장칼슘을 출시한 것이죠.

 

근데 여기서 굳이 기존의 칼슘강화 쌀이 있는데 왜 밥 짓기전에 타먹는 제품을 출시했는가 궁금하신 분들도 있을거 같습니다.

이유는 기존의 칼슘강화쌀은 함유되어 있는 칼슘양도 소량일뿐아니라 칼슘양을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에 칼슘을 보충하는 면에서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칼슘양을 조절하는 것은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칼슘이 너무 적어도 효과가 없지만 너무 많아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오히려 밥 짓기전에 원하는 양만큼 타먹을 수 있는 뼈건강 기장칼슘이 더 좋은 제품이라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저는 뼈건강 기장칼슘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

긴 이야기를 압축해서 썼지만 그래도 기네요 ㅋ.. 여기까지 들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많은 이들이 뼈건강 기장칼슘을 통해 부족한 칼슘을 보충하는 것이 저의 바람입니다.

아직 주변의 관심은 적지만 계속해서 홍보해 나아간다면 분명 저의 의도를 알고 사주실 분들이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오늘도 둥둥이 파이팅! 뼈건강 기장칼슘 파이팅!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2022. 호감커플. All Right Reserved